티스토리 뷰

카테고리 없음

퍼포먼스 마케팅

루돌푸다요 2024. 6. 21. 15:01

퍼포먼스 

콘텐츠 마케팅 

 

TPO 를 정확히 찍는다, 인구 통계학적 이야기. 

USP 

 

정성적 인사이트. 

정량적 데이터 : 숫자로 된 것들 

정성적 데이터 : 댓글, 리뷰, 후기 

인터뷰 

 

 

메타 비즈니스 구조 : 캠페인 설정 (목표 설정), 기획서에서 해야 할것 : 지표 설정 (KPI), 광고 셋트, 타겟 위치 

 

머신러닝 최적화(주 50+건) + 후킹성 + 랜딩 페이지 전환율 

목표 CTA 당 비용 X 50 ~ 100 = 주 예산 

목표 CTA 당 비용 x 50 ~ 100  * 4 = 캠페인 월 예산 

 

 

CTR, CPC , CPM 3가지 지표를 바탕으로 평가 

첫 방문시 기본적으로 낮은 전환율 이해 

카카오, 구글, 페이스북 리타겟으로 빈도 맞춰주자. (Zap, Zap,) 

킬러 콘텐츠를 만들기 (Straight) 

많은 실험하기 (1주 10+ ) 

 

제작 및 퍼포먼스 팁 

  1. 광고 크리에이티브는 가장 개인적인 이야기 에서 시작하자.
  2. 광고 문구는 소구점을 컨셉 별로 정리하고 최대한 많이 테스트 한다. 
  3. 문구 테크닉은 저장해두고 계속 적용해보기, 특히 첫 장의 후킹성이 중요하다. 
  4. 자사몰에 픽셀과 CAPI가 다 설치되어 있다. 데이터 자사몰로 다 모아야 한다. 
  5. 결국 소비자와 프로덕트 연결이다. VOC 꼭 확인 하기 
  6. 커뮤니티, 인플루언서, 업계 MEME을 넣으면 반응이 좋다. 
  7. 타겟 별로 들어야 하는 메시지가 다르다. 

 

광고 문구는 소구점을 컨셉 별로 정리하고 최대한 많이 테스트 한다. 

 

소구점 (USP & VP )

차별점(Unique Selling Point ) - 가치 제안 (Value Position)

 

USP (Unique Selling Point)   

USP 는 차별점  
- 상품이나 서비스가 가진 독특한 특징이나 혜택을 강조 

- 경쟁자와 구분되는 특징에 중점 

 

예시 : 도미노 피자 "30분 안에 피자를 배달 못하면 피자 무료" 
M&M 's 초콜릿 : 손에 녹지 않는 초콜릿 

 

VP (Value Proposition ) 

VP 는 가치 제안 
- 제품, 서비스의 전반적인 가치 정리 

-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메시지 (이해할 수 있게) 

 

문구 테크닉은 저장해두고 계속 적용해보기, 특히 첫 장의 후킹성이 중요하다. 

  1. 제품 / 프로덕트 파악 및 분석, 하나하나까지 디테일하게 
  2. 소비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풀기 
  3. VOC 분석 후 내용 넣기 (리뷰형) 
  4. 숫자로 쓰기 
  5. 이모티콘, 해쉬태그는 Bold취급, 링크 넣기 
  6. 광고니까 ! 확실한 정보성 혜택 주기 
  7. 3초 안에 후킹 될 수 있는지 계속 물어보기 
  8. 충분한 러닝이 될 수 있도록 돈 많이 써보기 
  9. 불필요한 워딩(공급자 vs 소비자) 다 빼기 
  10. 핑프한테 이야기한다고 생각 

 

CTR 높이는 꿀팁 

 

눈에 띄는 광고 제목 사용 (느낌표 등)  " 특별한 이벤트 ! 매직 디바이스의 새로운 시대!" 

명확한 핵심 가치 전달 : "여자들이 고른 남친룩 Best5 " 

적절한 키워드 사용(이미지랑 문구 매칭 시키기) : "가을 스타일 패션 업그레이드" 

강력한 제안 (CTA)달기 ex : 지금,바로,오늘,24시간, 오늘만!  "바로 가입하고 프로모션 혜택 누리세요!" 

시각적 요소 활용 : 이미지, 비디오 또는 움직이는 GIF, 이모티콘 

A/b 테스트 : 다양한 제목, 이미지, 배경색 사용 테스트 

3B (Beauty, Baby, Beast ) : 사진 넣기 

숫자 활용 : "10분 만에 원하는 몸매 만들기" 

최고(Best) / 강조 표현 사용 : "최고의 성능 ! 놀라운 게임 경험을 경험하세요 ! " 

 

자사몰에 픽셀과 CAPI 가 다 설치되어 있다. 데이터 다 모아야 한다. 

결국 소비자와 프로덕트 연결이다. VOC / 리뷰 꼭 확인하기 

 

커뮤니티, 인플루언서, 업계 meme을 넣으면 반응이 좋다. 

 

타겟별로 들어야 하는 메시지가 다르다. 

 

카카오 비즈니스 세미나

-자습할 수 있고, Certificate이 나온다. 

 

구글 Skillshop 

자습할 수 있고, Certificate이 나온다.